영화 건축학개론 : 첫사랑의 출발점, 도착점을 생각해보게 된다. 첫사랑의 기억을 떠올릴 때, 누군가는 아쉽다고 말하고, 또 다른 누군가는 여전히 셀렌다고 말한다. 시간이 많이 흐른 후, 서로가 가진 첫 사랑에 대한 기억은 많이 다를 것이다.
그런 점에서 영화 [건축학개론]의 출발점은 조금 다르다. 건축학개론, 영화 속 주인공(엄태웅)이 첫사랑(한가인)을 한 눈에 알아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내 마음속에 지어진 '첫사랑'은, 제주도에 있을까?
건축학과 승민(이제훈)은 건축학개론 수업에서 처음 만난 음대생 서연(수지)에게 첫눈에 반한다. 필연의 다리가 우연을 만들어줬다는 말, 같은 동네에서 살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된다. 함께 숙제를 하게 되면서 친해지지만,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는데 서툰 스무살, 순진한 승민(이제훈)은 입밖으로 꺼낼 수 없었던 고백을 마음속에 품은 채, 하나의 사건으로 인해 서연(수지)와 멀어지게 된다. "꺼져버려" 그 후, 15년 만에 그와 그녀는 만나게 된다. 건축사가 된 승민(엄태웅) 앞에 불쑥 나타난 첫사랑 서연의 등장은, 당황스러움을 감추지 못한다. 서연(한가인)은 승민에게 자신을 위한 집을 설계해달라고 한다. 하지만, 서연은 승민을 기억해내지 못한다. 함께 집을 완성해 가는 동안, 잊혀졌을지 모를, 가슴 속에 기억 되었던 감정을 두둘기게 된다. 새로운 감정이 쌓이기 시작한 것이다.
'처음'이라는 사랑의 추억, 그 아련함을 전람회의 '기억의 습작', 허리춤에 차고있는 삐삐, 머리를 다듬는 헤어무스 등등이 영화의 배경을 만들어준다. 15년이라는 세월을 풀어가며, 첫살에 대한 조금은 이기적인 기억을 화해를 요청하듯이 느껴진다. 현실을 읊조리게 되는 마지막 결말, 온전히 현재와 미래를 위해 살아가는 현실이 묘사되면 끝나기 때문에, 첫사랑의 마지막은 더욱 뭉클하게 와닿게된다.
건축학개론이 끝나고, 헤어지고, 집이 완성되고 헤어진다. 강북에서 강남으로 헤어지고, 제주에서 미국으로 더 멀리 헤어진다. 다시 못만날 첫사랑이 되었다.
'문화 체널 > 채널2 - 영화 바라보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타워 시사회 후기 (0) | 2012.12.26 |
---|---|
캐빈 인 더 우즈(The cabin in the woods)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 (18) | 2012.06.19 |
영화 어머니, 가슴에 새겨진 40년전 전태일 열사와 약속으로 (2) | 2012.04.08 |
언터처블 1%의 우정 코믹감동실화 프랑스 영화 추천 (2) | 2012.03.23 |
영화 블라인드 리뷰 추격자와 또다른 한국형 스릴러 영화의 탄생 (18) | 2011.08.22 |